OPEN between Secret

OSI 7 계층 본문

ccna

OSI 7 계층

해가꿈꾸는달 2012. 12. 8. 02:36
반응형

TCP/IP 나 OSI 7은 복잡한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해 만든것이다.


OSI 7 계층


7Layer


       - Application 계층 
             1.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계층이다.
                  (device가 우리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주최이다.)




6Layer

       - Presentation 계층
              1. 컴퓨터가 인식할수 있또록 형태를 변형해주는 계층?
              2. 어떤 데이터인지를 구분해주는 계층
              3. 전송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압축을 할수있고, 암호화도 할수가 있다.




5Layer

       - Session 계층

              1. 응용프로그램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ex) 네이트온에서 접속을 하면 상대방에게 알림창이 뜨게 된다. 이 말은 두 응용프로그램이 연결
                      됬다는 것이고 이 연결을 해주는게 이 계층에서 하는거




----------------------------------------------------------- 이 위에까지를 상위계층이라 함.(user 계층)

----------------------------------------------------------- 이 밑에서부터를 data flow 계층




4Layer
       - Transport 계층
                1.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계층.
                    데이터를 전송할때 2개의 프로토콜이 있는데 TCP 랑 UDP.


                        a. TCP : 신뢰성을 보장하는 방법이다.
                             내가 보낸 정보에 대해 받았다는 확인을 받아야 한다.
                             대신 확인을 받아가면서 해야되기 때문에 속도가 UDP에 비해 느릴 수 있음.


b. UDP :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는 방법.
            상대방이 잘 받든지 말든지 그냥 보내는 방식.
            TCP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


ex) 실시간 방송, 온라인게임, 인터넷전화 스트리밍 서비스는 UDP를 기본으로 해야한다.

속도가 빨라야 하니깐. 여기서 데이터 손실이 일어날수 있기 때문에 버퍼라는게 생겼다.


!!용어정리!!

MTU =  하나의 장비가 보낼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
데이터의 크기가 MTU를 넘으면 데이터를 분할해서 보내야 한다.


Segementing - > 데이터를 분할하는 작업
Segrment      - > 분할된 데이터 하나의 단위
Sequence Number -> segment에 붙는 번호


4계층을 대표하는 장비    :    L4 switch

4계층을 대표하는 데이터단위 (PDU)    :    segement

 


!!  생각해보기 .

**************************************************************************************
TCP 환경에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한테  Segement를 넘길때 1번넘기고 확인받고 2번넘기고 확인받고 3번 넘기고 확인을 받는다. 그러다 만약 3번 segement가 잘못됬다고 하면 클라이언트는 3번만 다시 요청할수가 있다.

UDP 환경에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한태 segenet를 한번에 다 넘긴다.
그러다 만약 3번 segement가 잘못됬다고 하면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전체를 다시 요구해야 한다.
**************************************************************************************

 


 

3Layer  

- network 계층

논리적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전송 결로를 만들어주는 계층이다.

3계층의 PDU     :    패킷

3계층을 대표하는 장비    :    Router

 

 

 

2Layer

- Data link 계층

물리적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전송 형태를 결정
    EX) 소포를 포장할때 어떤 포장을 할지 구분하는거.


1. Point - To - Point -> 1:1연결을 의미한다.     :ppp.hdlc


2. BMA ( Broadcast Multiple Access )
  

** MA(Multiple Access)란  

       -> 한명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수 있는거다.

** Broadcast

 -> 하나의 장비에서 다수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 .  (1 : 다수)

    BroadCast Domain  -> Broadcast가 전달 가능한 범위.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지 범위 조절이 가능.


3. NBMA(Non Broadcast Multiple Access)

a. 1:1은 가능하지만 1:N 은 불가능하다.


     b.wan통신(Frame-relay)
        ex) 우리나라가 일본과 중국에 같이 정보를 보낼수는 있지만
             일본과 중국에 한번에 정보를 보낼 필요는 없다.


FCS 

   -> 데이터의 크기를 이용한 오류검출을 하는것.

   -> Encapsulation 을 할때 다른계층에서는 Header만 붙이지만 2계층에서는 L2H 와 FCS(tail)을 같이 붙임.

   -> 그래서 De-encapsulation을 할때 이 FCS를 통해서 데이터의 크기 변화로 오류를 검출한다.



!! 생각해보기
 

Point To Point 랑 MBA 에서의 1:1은 의미가 다른것이다.

Point to Point 에서의 1:1은 a,b,c가 있을때 a-b,a-c,b-c와 같이 각각 따로따로 연결되어서 1:1로 통신을 하는것이고

BMA 에서 1:1은 a,b,c가 버스형태로 연결되어 있고 그안에서 a-b-c가 각각 1:1로 통신을 할수있다는 것.


2계층의 대표 장비         :        Switch

2계층의 PDU                :        Frame

 

 

 

 

 

1Layer

- Physical 계층

상위 계층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매개체를 통해 전달해주는것.

1계층의 대표장비    :    허브, 리피터

 

반응형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Address  (0) 2016.01.02
UTP  (0) 2016.01.01
네트워크  (0) 2016.01.01
시스코 네트워킹  (0) 2016.01.01
기본적인것들  (0) 2012.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