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1-08-07-logback-tutorial/
- https://minkwon4.tistory.com/161
- 국회의원 & 높으신 분들 어록
- Today
- Total
목록My story (831)
OPEN between Secret
* 액티비티 -> 하나의 화면을 의미. 1. 레이아웃 인플레이션(Inflation)-> xml 레이아웃에 정의된 내용이 메모리에 로딩된 후 객체화되는 과정-> xml 레이아웃 파일은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 로드되어 메모리에 객체화 된다.-> xml 레이아웃 파일 안에 button 태그를 정의해 두었더라도 앱은 그 정보를 미리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실행하면서 확인하게 된다. * setContentView()1. 화면에 나타낼 뷰를 지정하는 역할2. xml 레이아웃의 내용을 메모리에 객체화 하는 역할 * 화면 전체를 보여줄 xml 말고 화면중 일부분만 차지하는 레이아웃을 불러올때는?-> LayoutInflater 클래스를 사용-> 시스템 서비스로 제공-> 시스템 서비스는 단말이 시작되면서 항상 실행되는 서비..
1. 텍스트 뷰-> 텍스트를 화면에 보여주는것-> 텍스트뷰는 표시될 문자열이 없으면 텍스트뷰가 차지하는 영역도 알 수 없으므로 문자열은 반드시 지정해야 함.text-> 텍스트뷰에 text를 추가할때는 2가지 방식이 있음.1. 직접 입력하는 방식2. /res/values/ 폴더 안에 strings.xml 파일 안에 들어 있는 문자열을 지정하는 방식-> 다국어 지원시/res/value-en/strings.xml/res/value-ko/strings.xml이런식으로 2개를 만들어 주면 됨.-> /res/values/strings.xml에 정의된 문자열은 "@string/!string.xml 에서 정의한 name 값!" 로 참조한다textColor-> 문자열의 색상을 설정-> Alpha: 투명도. : FF = ..
위젯과 레이아웃-> 뷰와 뷰 그룹의 역할을 구분하기 위해 뷰의 종류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부름: 위젯(widget) - 뷰 중에서 일반적인 컨트롤의 역할을 하는 것: 레이아웃(Layout) - 뷰그룹 중에서 내부에 뷰들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그것들을 배치하는 역할을 하는 것뷰와 위젯, 뷰그룹과 레이아웃뷰 : 화면을 구성하는 일반적인 요소위젯 : 화면을 구성하는 일반적인 요소 중에서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컨트롤의 역할을 하는 화면 구성 요소뷰그룹 : 뷰를 담고 있는 그릇레이아웃 : 뷰를 담고 있는 그릇 안의 뷰들을 배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레이아웃 ConstraintLayout(제약 레이아웃) - 제약 조건(Constraint) 기반 모델 - 제약 조건을 사용해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
Class Loader : Class파일을 메모리(Runtime Data Area)에 적재한다.- Bootstrap 클래스로더 : JRE의 클래스들- Extension 클래스로더 : JRE의 확장라이브러리- System 클래스로더 : 시스템환경변수의 클래스패스Execution Engine : byte code를 실행 가능하게 해석해주는 기능RunTime Data Area :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OS에서 할당 받은 메모리 공간--------------------------------------------------- JVM은 프로그램 실행중에 사용되는 다양한 런타임 데이터 영역을 정의함- 이런 데이터 영역 중 일부는 JVM 시작시 생성되며 JAVA 가상 스시틈이 종료 될 때만 파괴된다.- 다른 데이터..
primitive type(원시형)- 원시형은 사용시 객체 생성을 하지 않고 바로 사용 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것들이라 편의를 위해서 그렇게 된 것 같다.정수형byte(8bit)short(16bit): short는 int 보다 짧아서 short-> byte 랑 short 는 JVM의 명령어 set에 이들을 처리하는 명령어가 없다. 따라서 이들의 연산을 하기 위해서 컴파일러가 byte랑 short들 갖고 올때 int로 형 확장하여서 갖고 온다. 그래서 byte 나 short 로 저장해봤자 실제 연산 시에는 int로 형변환을 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int를 기본형으로 두고 있지 않나 생각이 든다.int (32bit): 정수형에서 기본. long(64bit): long 은 int 보다 길어서 lon..
Char : 0~65535, 2byte java는 유니코드 체계C언어에서는 1byte ascii코드 체계 컴퓨터는 미국에서 처음 개발되었기 때문에 그 구조가 영어로 되어있음.초기 ASCII코드는 알파벳 대소문자 + 특수문자 를 합해도 7bit(127개)로 충분했으나컴퓨터가 더 대중화 되면서 7bit으로는 문자 표현이 어려서 1bit를 늘린 256(8비트)로 된 확장 아스키코드가 나오고 0~127까진 이미사용중이고 그 뒤인128~256 사이에 나머지 나라별로 문자를 넣어서 각 각 사용. ANSI(미국 표준 협회- 미국 내에서 기술 표준을 개발하는 기구)ASCII 문자를 7비트로 표현0000000 ~ 1111111 로 총 128개 표현 가능(영어 대소문자 구분)확장(extended) ASCII 0000000..
아........... 내용이 너무 어려웠음.아니 무슨... 그래...확실히 일본은 애니메이션을 잘 만드는거 같음. 거지같은 해외 CG 보다 확실히 다르다여튼 mit다니는 한 남자가 아내와 딸을 자폭테러?로 잃고 학교를 그만둔후 가난한 지역들 돌아다니면서 학살을 일으키고 다녀서 그것을 막으러 특수부대가 투입되면서 해결해 가는 내용그 남자의 말로는 인간의 본능에 있는 한 기관(팔,뇌, 마음) 같은 조정할수 있다고 함. 대신 선제조건으로 그가 사는 사회가 가난해야한다느점. 먹을것이 풍부할때는 서로 죽이거나 할 일이 드문데 가뭄이 들거나 식량이 떨어진 사회에서는 살아남기위해서 본능적으로 살육을 할 수도 있다는것. 이 본능을 이용해서 가난한 사회만 돌아다니면서 학살을 일으키고 다녔다. 그 이유는 ... 뭐더라...
나는... 내가 재미없는 사람이라 그런지 이 영화에서 중간중간 농담 따먹기 할때 그렇게 재미가 없더라 ㅠㅠ난 뭔가 사회성이 결여된건가 ㅋㅋㅋ 나도 내가 이상한건 알고 있지만 여튼 액션은 볼만했음.헐크, 토르, 토르동생...이 이름이 뭐더라.. 여튼.. 액션은 볼만했다. 뭐 인상깊고 그런게 아니라 액션을 보러 간거기 때문에 쓸말이 없음
c언어-> c++ 은 C 에서 객체 지향형 언어로 발전된것.B언어 -> BCPL언어의 기본만 남긴 언어어셈블리 언어로 구현된 유닉스 운영체제1978년 K&R 이라는 책에서 long, int, unsigned int 자료형이 나옴. 1. C언어의 문법1) 변수 변수의 처리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ALU와 연관 정수형은 char, int가 있으며 char는 8비트로 규정되어 있어서 범위가 결정 int는 cpu와 os에 의존적이라 변수의 크기를 조정하는 short와 long을 사용signed와 unsigned가있는데 signed은 양,음을 취급하고 unsigned에는 양의 정수만 취급정수형 변수 - 정수를 처리하기 위한 변수. 정수형 변수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처리시 부호와 숫자범위를 결정해야함.숫자 범위는 2진수..
HP 프로북 구매후 한/영 키가 안먹고 자꾸 alt 로 인식함. 인터넷에서 여러 처리방법이 있던데 1. 소프트웨어 설치 방법근데 노트북 사고 처음 켰는데 뭘 또 설치를 해야 키보드가 먹는다는건 이상해서 안함 2. regedit에 들어가 설정값 바꾸는기이 방법은 그럴듯 해서 했더니 '한/영'키는 제대로 작동하는데 바탕화면에서 '윈도우 검색' 기능시 키보드가 제대로 작동을 안하게 되버림. 3. windows를 설치 할때 키보드 선택을 잘못하여 키보드에서 한/영 키가 작동하지 않고 Alt가 키를 대신한다.또는 한/영 키는 제대로 작동이 되지만 일부 프로그램에서 단축키가 먹지 않는 경우가 발생함 (1) '내 PC'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 '관리' 실행 (바탕화면에 '내 PC'가 없다면 아무거나 '폴더..